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손보험 4세대 전환

by 헝피5 2022. 6. 5.

실손보험 4세대 전환

 

안녕하세요. Woo의 경제 반려자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실손보험을 4세대로 전환할 경우의 장단점에 대하여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최근 1, 2, 3세대 실손 보험료의 할증료가 큰폭으로 증가한다는 소식에 기존 가입자들이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해야 하는지 문의가 많습니다. 

 

우선, 실손 보험의 종류 및 보험료를 알아봅니다. 

 

실손보험의 종류 및 보험료 

실손보험 4세대 전환

 

1세대 실손 보험은 재가입주기라는 개념이 없었고, 갱신주기는 3년 또는 5년입니다. 

2세대 실손 보험재가입주기가 15년으로 설정되었고, 갱신주기는 1년으로 짧아졌습니다.

3세대 실손 보험재가입주기가 15년이고, 갱신주기도 1년입니다.

4세대 실손 보험재가입주기가 5년으로 짧아지고, 갱신주기가 1년입니다.

 

여기서, 재가입 주기가 15년이라는 것은 최초 가입 후 15년이되면 자동으로 현 시대 세대의 실손보험으로 변경되되, 병력 심사는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2세대 실손보험부터는 갱신주기가 1년이므로, 매년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보험료가 갱신됩니다. 

 

4세대 실손 보험의 장점

1. 저렴한 보험료

기존 세대 보험료 대비하여 80% 정도 저렴해집니다.  또한, 올해 6월까지 변경하면 1년간 50% 할인 보험료가 적용됩니다. 

 

2. 급여 보장 질환의 확대

습관성유산, 불임 관련 질환 보장, 선천성 뇌질환(태아) 보장, 그리고 여드름 등 피부질환 보장 확대

 

 

3. 합리적인 보험료 적용

직전 1년간 지급된 비급여 보험금에 따라 보험금 할인 및 할증이 적용됩니다. 

구분 직전 1년간
비급여 보험금 지급액
할인 및 할증율

1단계(할인) - 할인
2단계(유지) 0원초과 100만원 미만 -
3단계(할증) 100만원이상 150만원 미만 +100%
4단계(할증) 1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200%
5단계(할증) 300만원 이상 +300%

 

실손보험 4세대 전환실손보험 4세대 전환실손보험 4세대 전환

 

 4세대 실손 보험의 단점

1. 자기부담금 증가

비급여는 30%, 급여는 20% 까지 자기부담금 증가

 

2. 비급여 보장 질환 축소

대표적인 비급여 보장 질환인 도수치료의 경우 10회시마다 증상개선이 확인된 경우에만 보장되며, 최대 50회까지만 이용 가능함

영양제의 경우 허가사항이 있을 때 투여한 것만 보장됨

 

3. 재가입 주기가 15년(2세대, 3세대 경우)에서 5년으로 감소

5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현시대 세대의 실손 보험으로 변경되므로, 보험료가 오르는 속도가 증가 

 

실손보험 4세대전환실손보험 4세대 전환

 

결론

병원을 자주 가지 않는 경우에는 4세대로 변경해서 평소 납부하는 보험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병원을 자주 가는 경우에는 그대로 유지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실손 혜택을 누리는 것이 바람직해보입니다.

 


오늘은 실손보험 4세대 전환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4세대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댓글